[이전 글]

2021/01/11 - [IT/spring] - 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서 Spring boot 설치하기 - 1

 

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서 Spring boot 설치하기 - 1

파이널 프로젝트로 투표 사이트를 만든다. 개발하기 전에 개발 환경 설정을 기록하려고 한다. 아래 목차 순서대로 정리할 것임! <목차> spring boot 설치 thyemleaf 설치 mysql 설치 실행해보기 1. Eclipse

song-yujin.tistory.com


 

 

앞에서 VotingHomePage 프로젝트를 만들때 의존성으로 Lombok도 추가했었다.

이것은 VotingHomePage 프로젝트에 Lombok 의존성을 추가한다는 것이고 개발도구인 이클립스에서도 Lombok을 쓰려면 따로 추가를 해줘야한다. 

 

2. Eclipse에 Lombok 설치


projectlombok.org/download

 

위에 사이트를 들어가서 Lombok JAR 파일을 다운받는다. 

 

그리고 다운로드된 JAR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온다. 

Install / Update 를 누르면 된다! 

 

 

이렇게 설치해서 Eclipse가 실행될 때 Lombok이 같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. 

이클립스 실행 파일인 eclipse.ini 를 확인해보면 lombok jar가 추가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 

 

 

[이전 글]

 

2021/01/11 - [IT/spring] - 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서 Thymeleaf 설치하기 - 3

 

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서 Thymeleaf 설치하기 - 3

[이전 글] 2021/01/12 - [IT/spring] - 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 Lombok 설치하기 - 2 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 Lombok 설치하기 - 2 [이전 글] 2021/01/11 - [IT/spring] - 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..

song-yujin.tistory.com


 

MySQL 부분은 이전에 올렸던 글이 있다. 그것을 보고 참고하면 된다.

 

그런데 여기서는 이클립스에서 mysql 쿼리를 작성하고 실행시키지 않고 mysql workbench에서 실행할 예정이다. 그래도 초기 설정은 아래 글에 있으니 꼭 참고해야 될 것 

 

2020/10/09 - [IT/JAVA] - macOS mysql 설치 & eclipse java 연동

 

macOS mysql 설치 & eclipse java 연동

macOS 에서 oracle를 사용하려면 복잡하지만 MySQL은 간단하다고 한다. 그래서 MySQL을 설치하고 사용할 것!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를 이용하여 설치할 것이다. Homebrew를 이용하면 설정 과정이

song-yujin.tistory.com


 

4. MySQL Workbench 사용


 

workbench에서 eer diagram을 만들어준다. (본인이 설계한 디비를 기반으로!)

 

 

 

 

다 완성했으면 상단에 Database > Forward Engineer.. 를 눌러서 진행해주면 알아서 테이블을 만들어준다!!!

 

 

 

이런식으로 쭉 가서... 

 

입력해주고....

 

테이블의 제약조건이 이상할 경우에는 에러가 난다. 

 

 

 

다 완성을 하면 Home으로 돌아가서 MySQL Connections 옆에 + 버튼을 눌러서 새로 만들어준다.

 

 

 

 

 

그리고 이렇게 알맞게 작성해주면 된다! 

 

끄으으으읕~!@!~!~!~!~!❤

 

 

 

 

 

 

[이전 글]

2021/01/12 - [IT/spring] - 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 Lombok 설치하기 - 2

 

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 Lombok 설치하기 - 2

[이전 글] 2021/01/11 - [IT/spring] - [투표사이트만들기] Eclipse에서 Spring boot 설치하기 - 1 spring boot 설치 thyemleaf 설치 mysql 설치 실행해보기 1. Eclipse" data-og-host="song-yujin.tistory.com" d..

song-yujin.tistory.com

 


 

 

3. Eclipse에서 Thymeleaf 설치 & 프로젝트 적용 


제목에 " Thymeleaf 설치 & 프로젝트 적용"이라고 작성한 이유가 있다. 

 

일단 (1) spring boot처럼 marketplace에서 설치하는 방법(2) 프로젝트에 추가해주는 방법이 있다. 

 

(1)  spring boot처럼 marketplace에서 설치하는 방법

: Eclipse에서 Thymeleaf 플로그인 설치한다는 의미는 지금 쓰고 있는 개발 도구인 Eclipse에서 Thymeleaf 개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도구를 설치하는 것

 

(2) 프로젝트에 추가해주는 방법

: 프로젝트에 Thymeleaf라는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추가하는 것  (프젝에서 사용하려면 꼭 추가해야 됨!)

 

 

나는 1번째는 하지 않고 2번째 프로젝트에 추가해주기만 했다. (2번째 방법은 꼭 해야 될 것!)

 

(1) Marketplace에서 설치하는 방법 

thymeleaf도 마찬가지로 help > Eclipse Marketplace를 들어간다.

 

 

 

검색 후 install 해주면 끝!

 

 

 

 

 

(2) 프로젝트에 추가 

 

 

이전 글에서 생성한 VotingHomePage 프로젝트에서 build.gradle 들어가서 

 

 

dependencies 안에다가  아래 한 줄을 추가해준다. 

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thymeleaf'

 

그리고!!!!!

gradle을 수정했으면 반드시! refresh를 해줘야 한다! 안 그러면 적용이 안된다. 

build.gradle 위에서 우클릭을 눌러서 Gradle > Refresh Gradle Project 해주면 된다.

 

 

 

※ 그리고 여기서부터는 타임리프의 함수를 사용할 수 있고 ctrl + space 눌렀을 때 보일 수 있게(?) 하기 위한 설정이다. 

 

 

 

help > Install New Software 들어간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http://www.thymeleaf.org/eclipse-plugin-update-site/

work with에 링크를 넣어주고 이름도 적어줘서 쭉 진행해주면 끝이다!

 

 

파이널 프로젝트로 투표 사이트를 만든다. 

개발하기 전에 개발 환경 설정을 기록하려고 한다. 

아래 목차 순서대로 정리할 것임! 

 

<목차>

  • spring boot 설치
  • Lombok 설치
  • thyemleaf 설치
  • mysql 설치
  • 실행해보기

 

 

1. Eclipse에서 Spring boot 설치


이클립스 상단에 Help > Eclipse MarketPlace 로 들어간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find에서 sts 단어만 작성해주면 표시한 Spring Tools 4 를 볼 수 있다. 이것을 install 할 것!

 

 

 

 

 

 

설치가 다 끝났으면 프로젝트를 만든다. (Spring Starter Project를 선택)

 

 

 

 

 

 

프로젝트 이름을 작성해주고 각 설정에 맞춰서 선택해주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엄청 많은 의존성이 있지만 내가 설정한 것은 오른쪽 나와있는 7가지이다. 

다 추가해주고 마지막 Finish 를 눌러준다. 

 

 

그럼 일단 spring boot 설치와 프로젝트 만들기 성공~!~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+ Recent posts